맨위로가기

영천시의 시내버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천시의 시내버스는 영천교통과 영천여객이 운행하며, 2024년 12월 14일 현재 일반, 청소년, 어린이 요금 체계를 갖추고 있다. 2011년 3월부터 대경교통카드를 시작으로 다양한 교통카드와 환승 제도를 도입했으며, 2019년 8월부터는 대구, 경산 시내버스와의 환승 할인이 적용된다. 현재 1번, 2번 시내순환버스를 비롯해 대구광역시, 금호, 신녕, 삼창, 임고, 고경, 북안 방면 등 다양한 노선이 운행되고 있다. 2009년부터 천연가스 버스를 도입했으며, 2018년 저상버스, 2022년 전기버스를 도입하여 친환경 버스 운행을 확대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상북도의 버스 교통 - 경주시의 시내버스
    경주시의 시내버스는 새천년미소에서 급행, 시내, 좌석, 순환버스로 나뉘어 운행되며, 각 노선은 경주시와 인접 지역을 연결하고 교통카드 이용 시 환승 할인 혜택이 있는 단일요금제를 적용한다.
  • 경상북도의 버스 교통 - 경주시외버스터미널
    경주시외버스터미널은 경주시에 위치하며 전국 각지로 향하는 시외버스 노선을 운영하고, 2010년대 이후 노선 변경이 있었다.
  • 영천시의 교통 - 경부고속도로
    경부고속도로는 부산에서 서울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고속도로이며, 1970년에 전 구간이 완공되었고, 총 연장 416.1km로 부산, 대구, 대전 등 주요 도시를 통과하며 버스 전용 차로가 운영된다.
  • 영천시의 교통 - 국도 제28호선
    국도 제28호선은 영주시에서 시작하여 포항시에서 끝나는 일반 국도로, 1971년 의성~포항 구간으로 지정되었으며, 영주시, 예천군, 의성군, 군위군, 영천시, 경주시를 거쳐 포항시에 이른다.
  • 대한민국의 버스 노선 - 홍성군의 농어촌버스
    홍성군의 농어촌버스는 충남교통운수에서 시작하여 홍주여객이 주요 운수업체로서 노선번호제를 통해 운영 체계를 개선하였고, 지역 특성을 반영한 노선번호와 함께 2024년 1월 기준 카드 1,400원, 현금 1,500원의 운임이 적용된다.
  • 대한민국의 버스 노선 - 담양군의 농어촌버스
    담양군의 농어촌버스는 담양군과 인근 지역을 연결하는 대중교통 수단으로, 단일 요금제를 적용하며, 동광담양고속이 운행한다.
영천시의 시내버스
버스 정보
지역영천시
구분시내버스
영천시내버스 750-1번
영천시내버스 750-1번
관리 기관영천시청 생활경제교통과 교통행정팀
서비스 지역경상북도 영천시
기타 지역대구광역시, 경산시, 경주시
노선 수59개
인가 대수72대
지불 수단현금, 교통카드
선불 카드원패스, 레일플러스, 이즐, 티머니, 한페이
후불 카드KB국민카드, 비씨카드, NH농협카드, 신한카드, 삼성카드, 롯데카드, 현대카드, 하나카드
사이트영천시의 버스 노선

2. 운임

2024년 12월 14일 현재 시행 중인 요금은 해당 문서의 하위 문단인 '요금표'와 같다. 2019년 8월 20일부터 대구 및 경산의 요금 체계로 편입되면서 시계외요금이 폐지되었다.[1]

2011년 3월 1일부터 모든 노선에 대경교통카드를 확대하여 교통카드제를 정식으로 시행했다. 이후 탑패스(2013년 6월), 레일플러스(2015년 2월), 캐시비(2015년 3월)를 순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으며, 원패스(2014년)와 티머니, 한페이도 사용 가능하다. 교통카드 이용 시 하차 후 30분 내 1회 무료 환승 혜택이 있으며, 환승하지 않을 시에도 반드시 하차 태그를 해야 한다. 2019년 8월 20일부터 대구 도시철도, 대구광역시의 시내버스, 경산시의 시내버스와의 광역 환승 할인이 적용된다.[1]

2. 1. 요금표

종류나이카드 (원)현금 (원)
일반어른 (만 19세 이상)1500KRW1700KRW
청소년 (만 13세 ~ 18세)850KRW1000KRW
어린이 (만 7세 ~ 12세)400KRW500KRW



위 표는 2024년 12월 14일 현재 시행 중인 요금표다.[1] 2019년 8월 20일부터 대구 도시철도대구광역시의 시내버스, 경산시의 시내버스로 환승 시 환승 할인이 적용된다.

2. 2. 교통카드 및 환승 할인

2011년 3월 1일부터 모든 노선에 대경교통카드를 확대하여 교통카드제를 정식으로 시행했다. 2013년 6월부터 탑패스, 2015년 2월부터 레일플러스, 2015년 3월부터 캐시비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으며, 탑패스의 후속인 원패스 또한 2014년부터 이용하고 있다. 2015년 말에는 티머니 사용도 가능하며, 한페이도 호환된다.

교통카드 이용 시 하차 후 30분 내 1회 무료 환승 혜택이 있다. 인근 도시와 달리 환승하지 않을 시에도 반드시 하차시 하차 태그를 해야 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수도권 통합요금제와 같이 다음 승차 시 불이익이 있다.

2019년 8월 20일부터 대구 도시철도, 대구광역시의 시내버스, 경산시의 시내버스로 환승 시 환승 할인이 적용된다.[1]

3. 버스 노선

영천 시내버스는 보조 행선판 대신 LED 행선판을 사용하며, 모든 행선 방면에 번호를 부여하여 운행한다.[2] 시내순환버스는 단방향으로만 운행한다.[2]

과거에는 포털 사이트에서 일부 노선( 대구 방면 55번·555번, 시내순환 2번) 정보를 제공하지 않았으나, 2015년부터는 해당 노선들도 안내되고 있다. 다만, 영천 시내에는 버스 운행 정보 시스템(BIS)이 설치되어 있지 않아 실시간 도착 정보는 제공되지 않는다.[2]

3. 1. 시내구간 순환버스

번호운행 구간경유지운행
횟수비고1영천터미널(앞)→영천터미널(앞)영천역, 영천시청, 영천고교, 망정동 창신아파트, 영동고교, 서문육거리83회일부 시간 대동다숲 행2오수동 차고지
(영천영대병원)→오수동 차고지
(영천영대병원)영동고교, 영천고교, 영천역, 영천터미널(건너), 북영천역67회일부 시간 시민운동장 또는 쌍계동 행


3. 2. 대구광역시 방면

번호운행구간경유지운행
횟수비고55
시내망정동
(창신아파트)↔동부정류장영천고교, 영천터미널, 서문육거리, 오수동차고지, 영천경찰서, 금호초교종점(교대리), 금호읍사무소, 금호중학교, 용천리CNG충전소, 부림요양병원, 동서리종점, 하양역, 하양정류장, 대구가톨릭대학교, 경일대학교, 청천역, 안심역, 신서네거리, 용계역, 망우당공원, 효목네거리, 구 약사회관뒷길50회좌석버스 555번과 교차 운행555
좌석26회시내버스 55번과 교차 운행[2]55-1
시내망정동
(창신아파트)↔경일대학교영천고교, 영천터미널, 서문육거리, 오수동차고지, 영천경찰서, 금호초교종점(교대리), 금호읍사무소, 금호중학교, 용천리CNG충전소, 부림요양병원, 동서리종점, 하양역, 하양정류장, 대구가톨릭대학교6회좌석버스 555-1번과 교차 운행555-1
좌석7회시내버스 55-1번과 교차 운행


3. 3. 금호 · 대창 방면

번호운행구간경유지운행
횟수비고111영천터미널↔수암예식장서문통, 도동, 도남2회111-1영천터미널↔수암예식장금호, 호남, 대곡2회111-2영천터미널↔수암예식장금호, 호남, 대곡, 도동1회112영천터미널영천터미널도동, 약남, 구암, 양남, 쇠느리1회113영천터미널↔금호도동, 황정3회113-1영천터미널↔금호황정, 도동, 강변도로3회120우천↔금호대평, 사일3회150정동↔금호오길입구, 신광입구, 대창, 남성, 신대2회150-2금호→금호대창, 신광입구, 오길입구, 정동, 용전, 조곡2회150-3금호→금호대창, 신광입구, 오길입구, 정동1회151-4금호→금호삼호, 신대, 남선, 대창, 구지, 오길, 정동, 어은1회151-5영천터미널↔수덕앞원제, 금호, 대창, 오길, 정동, 용전, 조곡1회160금호→금호삼호, 신대, 오계, 대창, 구지, 장곡, 오계, 어은1회160-1금호→금호어은, 대창, 구지, 사1리, 장곡, 사2리, 오계, 남성, 삼호1회161금호→금호신대, 남성, 오계, 강회, 병암, 대재, 대창, 어은1회170금호↔영지사대창, 신광, 용호2회170-1금창교↔영지사대창, 신광, 용호1회171금호↔영지사대창, 조곡, 용호1회180금호→금호어은, 대창, 구지, 대재, 병암, 오계21회181금호→금호강회, 병암, 대재, 병암, 오계21회222금호→완전교대, 대평, 송천, 청통5회


3. 4. 신녕 방면

노선 번호운행 구간경유지운행 횟수비고
220영천터미널은해사영동교, 삼부, 우천, 청통, 송천1회
220-1영천터미널은해사영동교, 삼부, 우천, 청통, 송천2회애련 경유
220-2영천터미널은해사영동교, 삼부, 우천, 치일2회치일 경유
220-3영천터미널은해사영동교, 삼부, 우천, 청통, 치일, 애련1회
222(공영)금호터미널 ↔ 신녕터미널대평, 송천, 치일, 신학3회
222-1(공영)금호터미널 ↔ 신녕터미널대평, 신덕2회
241영천터미널 ↔ 덕암녹전, 대기, 가상, 효지미, 가상1회
241-1영천터미널 ↔ 덕암녹전, 대기, 가상, 효지미, 가상, 화촌2회당지 경유
242영천터미널 ↔ 가상삼부, 납샘이, 이밤, 화산, 덕암1회
242-1영천터미널 ↔ 가상삼부, 납샘이, 이밤, 화산, 덕암, 화촌1회
242-2영천터미널 ↔ 가상삼부, 납샘이, 이밤, 화산, 덕암, 효지미1회
250영천터미널 ↔ 신녕영동교, 삼부, 화산, 덕암6회
251영천터미널은해사영동교, 삼부, 화산, 덕암, 신녕, 거조암3회
261영천터미널 ↔ 창평영동교, 삼부, 화산, 덕암, 신녕, 부산, 치산2회
262영천터미널 ↔ 창평영동교, 삼부, 화산, 덕암, 신녕, 부산, 백학1회
271영천터미널 ↔ 치산1리영동교, 삼부, 화산, 덕암, 신녕, 부산2회
281영천터미널 ↔ 삼산2리영동교, 삼부, 화산, 덕암, 신녕, 부산, 화서1회
281-1영천터미널 ↔ 삼산2리영동교, 삼부, 화산, 덕암, 신녕, 부산, 화남, 화서1회
291영천터미널 ↔ 연정영동교, 삼부, 화산, 신녕1회
292영천터미널 ↔ 화남영동교, 삼부, 화산, 신녕, 성대1회
293영천터미널 ↔ 연정, 화남영동교, 삼부, 화산, 신녕, 신녕초, 연정3회
294영천터미널 ↔ 삼산2리영동교, 삼부, 화산, 신녕, 성대, 화남, 화서3회


3. 5. 삼창 방면

번호운행 구간경유지운행
횟수비고310영천터미널↔매산영동교, 도림, 매산, 녹전, 대전, 서문R3회310-1영천터미널↔매산영동교, 서문R, 대전, 곧은골, 매산, 녹전, 북문1회320영천터미널↔죽곡영동교, 도림, 신호, 노방, 죽곡1회320-1영천터미널↔죽곡영동교, 도림, 신호, 죽곡, 노방2회330영천터미널↔귀호영동교, 사천, 삼창, 귀호, 암기, 대기, 녹전2회331영천터미널↔귀호영동교, 서문R, 대전, 녹전, 대기, 암기, 귀호, 삼창, 사천, 도림1회340영천터미널↔월곡영동교, 도림, 삼창, 한천, 구전2회340-1영천터미널↔월곡영동교, 도림, 삼창, 질구지, 논실, 안천, 구전1회340-2영천터미널↔월곡영동교, 도림, 삼창, 한천, 안천, 구전2회350영천터미널↔상송영동교, 도림, 삼창, 질구지, 자천3회350-1영천터미널↔죽전, 공덕영동교, 도림, 삼창, 질구지, 자천, 상송2회351영천터미널↔법화, 국실, 죽전영동교, 도림, 삼창, 질구지, 자천, 법화, 상송2회351-1영천터미널↔법화, 죽전영동교, 도림, 삼창, 질구지, 자천, 법화, 국실, 상송1회352영천터미널↔공덕, 상송영동교, 도림, 삼창, 질구지, 오산교1회360영천터미널↔보현영동교, 도림, 삼창, 자천, 정각1회360-1영천터미널↔보현, 용화영동교, 도림, 삼창, 자천, 정각1회360-2영천터미널↔절골, 보현영동교, 도림, 삼창, 자천, 정각1회361영천터미널↔보현, 도일영동교, 도림, 삼창, 자천1회363영천터미널↔보현, 도일박영동교, 도림, 삼창, 질구지, 공덕, 자천, 정각1회


3. 6. 임고 방면

번호운행구간경유지운행
횟수비고410영천터미널↔임고, 우항동부초등학교, 임고, 임고중학교, 우항, 창상, 조교1회410-1영천터미널↔단포, 우항동부초등학교, 단포, 창상, 우항, 임고중학교1회420영천터미널↔우봉골동부초등학교, 매호, 임고, 효리, 금대, 사동, 착골2회420-1영천터미널↔우봉골, 수성동부초등학교, 매호, 임고, 효리, 금대, 사동1회421영천터미널↔수성동부초등학교, 매호, 임고, 효리, 금대, 사동5회430영천터미널↔용산동부초등학교, 매호, 임고, 평천1회431영천터미널↔삼매동부초등학교, 조교, 삼사, 창상, 우항, 임고중학교, 임고, 평천3회432영천터미널영천터미널동부초등학교, 매호, 임고, 선원, 덕연, 평천3회433영천터미널↔삼매동부초등학교, 매호, 임고, 평천1회441영천터미널↔신방, 삼귀동부초등학교, 매호, 임고, 평천, 벌바위2회442영천터미널↔삼귀동부초등학교, 매호, 양향, 평천, 벌바위1회443영천터미널영천터미널동부초등학교, 매호, 임고, 평천, 벌바위, 자양2회443-1영천터미널영천터미널동부초등학교, 매호, 임고, 평천, 벌바위, 자양, 용산, 용화1회444영천터미널↔용산영천고등학교, 조교, 양항, 평천, 벌바위, 성곡1회450영천터미널↔보현동부초등학교, 매호, 양향, 평천, 벌바위, 자양, 충효1회450-1영천터미널↔보현동부초등학교, 매호, 양향, 평천, 벌바위, 자양, 충효1회용산 경유450-2영천터미널↔보현, 절골동부초등학교, 매호, 임고, 평천, 벌바위, 자양, 충효1회절골 경유451영천터미널↔보현, 도일동부초등학교, 매호, 임고, 평천, 벌바위, 자양, 충효1회도일 경유


3. 7. 고경 방면

번호운행 구간경유지운행
횟수비고611영천터미널영천터미널영동교, 조교, 고도, 오류, 대성, 단포3회611-1영천터미널영천터미널조교, 대성, 오류, 고도, 삼사3회612영천터미널↔고도, 부동영동교, 조교, 삼사3회614영천터미널↔용내기영동교, 조교, 삼사, 고경3회620영천터미널국립영천호국원영동교, 망정, 조교, 삼사, 고경, 고촌15회621영천터미널↔배골, 청정영동교, 망정, 조교, 삼사, 고경, 고촌2회621-1영천터미널↔배골, 청정영동교, 망정, 조교, 삼사, 고경, 고촌1회622영천터미널↔황수탕영동교, 망정, 조교, 삼사, 고경, 석계2회622-1영천터미널↔황수탕영동교, 망정, 조교, 삼사, 고경, 고촌, 청정2회630영천터미널↔오룡영동교, 망정, 조교, 삼사, 고경, 석계, 삼포6회


3. 8. 북안 방면

번호운행구간경유지운행
횟수비고710영천터미널↔용수골서문통, 한전, 도동, 영천 나들목, 괴연6회710-1영천터미널↔용수골, 쇠느리서문통, 한전, 도동, 영천 나들목, 괴연1회쇠느리 경유730영천터미널↔유상2리영천초등학교, 도동, 작산1회730-1영천터미널↔유상, 범어서문R, 영동교, 한전, 도동, 작산1회730-2영천터미널↔유상, 범어서문R, 영동교, 한전, 도동, 작산2회730-3영천터미널↔범어영천초등학교, 도동, 작산1회750영천터미널↔임포서문R, 영동교, 한전, 도동, 작산, 반정3회750-1영천터미널↔임포, 쇠느리서문통, 영동교, 한전, 도동, 작산, 반정1회쇠느리 경유751영천터미널영천터미널서문R, 영동교, 한전, 도동, 작산, 임포, 내포, 원당, 신촌1회751-1영천터미널영천터미널서문R, 영동교, 한전, 도동, 작산, 임포, 내포, 원당1회751-2영천터미널영천터미널서문R, 영동교, 한전, 도동, 쇠느리, 작산, 임포, 내포, 원당1회751-3영천터미널영천터미널서문R, 영동교, 한전, 도동, 작산, 임포, 내포, 원당, 관리1회752영천터미널↔효리서문R, 영동교, 한전, 도동, 작산, 임포, 도천1회753영천터미널↔아화서문R, 영동교, 한전, 도동, 작산, 임포, 만불사4회760영천터미널↔상리서문R, 영동교, 한전, 도동, 작산, 임포, 명주, 당리4회760-1영천터미널↔도유, 상리, 효동서문R, 영동교, 한전, 도동, 작산, 임포, 명주, 북리, 당리1회760-2영천터미널↔도유, 상리서문R, 영동교, 한전, 도동, 작산, 임포, 명주, 북동, 당리1회760-3영천터미널↔효동, 용계, 상리서문R, 영동교, 한전, 도동, 작산, 임포, 도천, 명주1회760-4영천터미널↔용계, 상리서문R, 영동교, 한전, 도동, 작산, 임포, 도천, 명주, 임포1회761영천터미널↔용계서문R, 영동교, 한전, 도동, 작산, 임포, 명주, 상리, 당리1회763영천터미널↔상리서문R, 영동교, 한전, 도동, 작산, 임포, 도천, 명주, 북동, 상리1회


4. 친환경 버스 도입

2008년 12월 영천시 금호읍 근처 지역인 경산시 와촌면 용천리에 하양CNG충전소가 개업하자, 2009년 9월부터 동대구터미널 및 하양읍, 와촌면에서 영천을 오고가는 55/555번에 천연가스버스를 도입하여 운행 중이다. 하지만 영천시는 천연가스버스가 의무화된 지역이 아닌 데다가, 영천시 관내에는 아직 CNG충전소가 없다. 따라서 가스를 충전하려면 영천 - 경산 경계를 넘어 용천리까지 공차회송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서, 일렉시티의 비중이 늘어나고 있다.

2018년 8월에 저상버스를 첫 도입했으며, NEW BS110 디젤저상 2대를 55번에 투입했다.

2022년에는 전기버스를 첫 도입했으며, 일렉시티 2대를 55번에 투입했다. 2024년 11월에는 일렉시티 좌석형도 인도받았다.

5. 운행 업체

영천교통과 영천여객이 영천시의 시내버스를 운행하고 있다.

6. 갤러리

영천시외버스터미널 앞을 지나가는 55번 버스


55번 버스


555번 버스

1번 버스


111, 611번 노선을 운행하기 위해 대기하고 있는 6304, 6339호 차량


241-1번 노선을 운행하기 위해 대기하고 있는 6318호 차량


안내방송과 통합된 차량 내부 LED 행선지 안내기
[4]

참조

[1] 블로그 대구에서 경산, 영천까지 대중교통 무료 환승하세요! https://blog.naver.c[...] 2019-08-12
[2] 문서 일부 시간대에는 언하산단 뒷쪽의 신기동으로 들어간다.
[3] 문서 안심역까지 운행하는 노선
[4] Youtube 실제 영상 https://www.youtube.[...]
[5] 고시 영천시 고시 제2021-111호 영천시 도로노선의(지정, 변경, 폐지) 고시 https://www.yc.go.kr[...]
[6] 간행물 2015년 도로교량 및 터널현황 https://stat.kosis.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